zoaseo
To Infinity And Beyond
zoaseo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763)
    • 개발이 좋아서 (381)
      • SAP가 좋아서 (3)
      • Java가 좋아서 (42)
      • Spring이 좋아서 (50)
      • JPA가 좋아서 (0)
      • QueryDSL이 좋아서 (26)
      • Docker가 좋아서 (7)
      • Redis가 좋아서 (7)
      • AWS가 좋아서 (5)
      • CI/CD가 좋아서 (6)
      • Troubleshooting이 좋아서 (4)
      • Kotlin이 좋아서 (7)
      • SQL이 좋아서 (6)
      • HTTP가 좋아서 (21)
      • JavaScript가 좋아서 (30)
      • TypeScript가 좋아서 (6)
      • Vue가 좋아서 (21)
      • Flutter가 좋아서 (61)
      • React가 좋아서 (20)
      • Redux(React)가 좋아서 (2)
      • Angular가 좋아서 (22)
      • HTML이 좋아서 (9)
      • CSS가 좋아서 (15)
      • PHP가 좋아서 (9)
      • Illustrator가 좋아서 (2)
    • 노력이 좋아서 (169)
    • 결과물이 좋아서 (14)
    • 코딩연습이 좋아서 (168)
      • 이론이 좋아서 (62)
      • SQL이 좋아서 (90)
    • 유용한 사이트가 좋아서 (28)
    • Github (2)

인기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zoaseo

To Infinity And Beyond

DFS, BFS 활용 - 섬나라 아일랜드(BFS)
코딩연습이 좋아서/이론이 좋아서

DFS, BFS 활용 - 섬나라 아일랜드(BFS)

2024. 12. 16. 18:14

설명

N*N의 섬나라 아일랜드의 지도가 격자판의 정보로 주어집니다.

각 섬은 1로 표시되어 상하좌우와 대각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, 0은 바다입니다.

섬나라 아일랜드에 몇 개의 섬이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.

만약 위와 같다면 섬의 개수는 5개입니다.

입력

첫 번째 줄에 자연수 N(3<=N<=20)이 주어집니다.

두 번째 줄부터 격자판 정보가 주어진다.

출력

첫 번째 줄에 섬의 개수를 출력한다.

예시 입력 1 

7
1 1 0 0 0 1 0
0 1 1 0 1 1 0
0 1 0 0 0 0 0
0 0 0 1 0 1 1
1 1 0 1 1 0 0
1 0 0 0 1 0 0
1 0 1 0 1 0 0

예시 출력 1

5

 

import java.util.LinkedList;
import java.util.Queue;
import java.util.Scanner;

class Pointer {
    int x;
    int y;

    public Pointer(int x, int y) {
        this.x = x;
        this.y = y;
    }
}

public class Main {

    static int answer = 0;
    static int n;
    static int[] dx = {-1, -1, 0, 1, 1, 1, 0, -1};
    static int[] dy = {0, 1, 1, 1, 0, -1, -1, -1};
    static Queue<Pointer> queue = new LinkedList<>();

    public static void BFS(int x, int y, int[][] board) {
        queue.add(new Pointer(x, y));
        while (!queue.isEmpty()) {
            Pointer pos = queue.poll();
            for (int i = 0; i < 8; i++) {
                int nx = pos.x + dx[i];
                int ny = pos.y + dy[i];
                if (nx >= 0 && nx < n && ny >= 0 && ny < n && board[nx][ny] == 1) {
                    board[nx][ny] = 0;
                    BFS(nx, ny, board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}

    public static void solution(int[][] board) {
        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            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                if (board[i][j] == 1) {
                    answer++;
                    board[i][j] = 0;
                    BFS(i, j, board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}
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
        n = sc.nextInt();
        int[][] board = new int[n][n];
        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            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                board[i][j] = sc.nextInt()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solution(board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nswer);
    }
}

'코딩연습이 좋아서 > 이론이 좋아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reedy Algorithm - 씨름 선수  (1) 2024.12.18
DFS, BFS 활용 - 피자 배달 거리(삼성 SW역량평가 기출문제 : DFS활용)  (1) 2024.12.16
DFS, BFS 활용 - 섬나라 아일랜드(DFS)  (0) 2024.12.16
DFS, BFS 활용 - 토마토(BFS 활용)  (0) 2024.12.16
DFS, BFS 활용 - 미로의 최단거리 통로(BFS)  (0) 2024.12.16

    티스토리툴바